iOS 63

구조체(Struct)

구조체(Struct) 와 클래스(Class) 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먼저 구조체부터 차근차근 파헤쳐 볼까요?📌 구조체(Struct)구조체는 데이터와 기능을 묶어서 하나의 사용자 정의 타입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에요. 구조체를 사용하면 서로 관련된 데이터를 묶어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를 더 깔끔하고 체계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요.🏠 구조체는 어떻게 생겼을까요?구조체는 struct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해요.struct Location { var latitude: Double // 위도 var longitude: Double // 경도}위 코드는 Location이라는 이름의 구조체를 정의한 거예요. Location 구조체는 latitude와 longitude라는 두 개의 프로퍼티를 가지..

iOS

생성자(Initializer)

오늘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init, 즉 생성자(Initializer) 에 대해 깊고 넓게 파헤쳐 볼 거예요. 생성자는 클래스나 구조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호출되는 특별한 메서드로, 객체의 초기 상태를 설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요.📌 생성자생성자는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특별한 메서드예요. 마치 갓 태어난 아기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필요한 물건을 챙겨주는 것과 비슷하죠. 생성자는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를 초기화하고, 사용하기 전에 필요한 설정을 수행하여 인스턴스를 안전하고 완전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해요.🐣 생성자는 어떻게 생겼을까요?생성자는 init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해요. 일반적인 메서드와 달리 반환 타입이 없고, init이라는 고정된 이름을 사용..

iOS

클로저 (Closure)

오늘은 Swift의 기능 중 하나인 "클로저 (Closure)"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클로저 (Closure)가 뭐지?간단하게 말해서, 클로저는 "이름 없는 함수" 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함수는 어떤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덩어리잖아요? 클로저도 마찬가지예요. 다만, 함수처럼 func 키워드를 사용해서 이름을 붙여주지 않아도 되는 거죠.비유를 통해 이해해 볼까요?여러분, 혹시 집에서 사용하는 믹서기나 블렌더를 떠올려 보세요. 과일을 넣고 버튼을 누르면 윙~ 하고 갈려서 주스가 만들어지죠? 여기서 믹서기 자체는 "함수" 에 비유할 수 있고, 믹서기 안에 들어가는 과일은 "입력값", 그리고 만들어진 주스는 "결괏값" 이라고 할 수 있어요.이제, 클로저는 마치 "휴대용 미니 믹서기" 라고 생각해 보세요..

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