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11

링크드리스트 만들기

오늘은 자료구조중에 링크드리스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먼저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는 여러 개의 노드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띠는 자료구조입니다. 각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구성됩니다. 배열처럼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지만, 메모리상에 연속적으로 위치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먼저 링크드리스트를 만들기 위해 노드를 생성해줍니다.class Node { var value: Element var next: Node? init(value: Element, next: Node? = nil) { self.value = value self.next = next }}어떤 타입의 데이터를 받을지 모르기 때문에 제네릭으로 타입을 지정하였습니다. 그리고 링크드리..

CS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오늘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존성 주입은 코드의 유연성, 재사용성, 테스트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디자인 패턴이에요.📌 의존성(Dependency)이란 무엇일까요?의존성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를 필요로 하는 관계를 말해요. 예를 들어, Car 객체가 Engine 객체를 필요로 한다면, Car는 Engine에 의존한다고 할 수 있어요.class Engine { func start() { print("Engine started") }}class Car { let engine: Engine // Car는 Engine에 의존합니다. init() { eng..

CS

배열과 리스트

오늘은 컴퓨터 과학의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인 배열(Array) 과 리스트(List) 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둘 다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자료구조이지만, 내부적인 구현 방식과 특징은 다르답니다.📌 배열(Array)배열은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예요. 🚀 배열의 특징순차적: 데이터가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돼요.고정 크기: 대부분의 언어에서 배열은 생성 시 크기가 고정되며, 크기를 변경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Swift의 Array는 동적으로 크기가 조절됩니다.)직접 접근: 인덱스(Index)를 사용하여 특정 위치의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요. (시간 복잡도: O(1))삽입/삭제: 배열의 중간에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해당..

CS

싱글톤 패턴

오늘은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 중 하나인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싱글톤 패턴은 특정 클래스에 대해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생성하고, 어디에서든 이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이에요. 시스템 내에서 유일한 객체를 보장해야 할 때 사용해요.🏠 싱글톤 패턴의 핵심유일한 인스턴스: 클래스는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생성해야 해요.전역 접근: 어디에서든 이 유일한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해요.생성 제한: 외부에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도록 제한해야 해요.지연 초기화(Lazy Initialization): 인스턴스가 실제로 필요할 때 생성하도록 할 수 있어요. (필수..

CS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오늘은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상 메모리는 실제 물리 메모리(RAM)보다 더 큰 메모리 공간을 프로그램에 제공하는 기술로, 메모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멀티태스킹 환경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왜 필요할까요?가상 메모리가 등장하기 전에는 프로그램이 실제 물리 메모리(RAM)의 크기보다 클 수 없었어요. 만약 큰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물리 메모리를 확장하거나 프로그램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실행해야 했죠. 이러한 방식은 메모리 관리를 어렵게 만들고, 프로그램 개발의 복잡성을 증가시켰어요.가상 메모리는 프로그램에 실제 물리 메모리보다 더 큰 가상의 메모리 주소 공간..

CS

해시 테이블(Hash Table)

오늘은 검색, 삽입, 삭제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료구조인 해시 테이블에 대해 알아보려고해요. 특히, 해시 테이블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자세히 알아볼 거예요.📌 해시 테이블(Hash Table)해시 테이블은 키와 값을 짝지어 저장하는 자료구조예요. 해시 테이블은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키를 해시라는 고유한 정수 값으로 변환하고, 이 해시 값을 인덱스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검색해요.🔑 해시 테이블의 핵심 요소키(Key): 데이터를 식별하는 고유한 값이에요. (예: 학번, 주민등록번호, 상품 코드)값(Value): 키와 연결된 데이터예요. (예: 학생 정보, 주민 정보, 상품 정보)해시 함수(Hash Function): 키를 고유한 정수 값(해시)으로 변환하는 함수예요..

CS

자료구조(배열, 연결 리스트, 스택, 큐)

오늘은 컴퓨터 과학의 기본 자료구조인 배열(Array), 연결 리스트(Linked List), 스택(Stack), 큐(Queue) 의 특징과 iOS에서의 구현 방법을 알아보려고 해요. 📌 자료구조(Data Structure), 왜 중요할까요?자료구조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 접근, 수정하기 위한 구조를 말해요.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하면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일 수 있어요.📌 1. 배열 (Array)배열은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예요.🚀 배열의 특징순차적(Sequential): 데이터가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돼요.고정 크기(Fixed Size): 대부분의 언어에서 배열은 생성 시 크기가 고정되며, 크기를 변..

CS

정렬 알고리즘

오늘은 정렬 알고리즘(Sorting Algorithm) 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정렬은 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탐색, 관리,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작업이에요.📌 정렬 알고리즘, 왜 중요할까요?정렬은 데이터를 원하는 순서대로 재배치하여 데이터의 가독성과 유용성을 높이는 작업이에요. 정렬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해요.빠른 검색: 정렬된 데이터에서는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같은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빠르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어요.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데이터를 쉽게 비교, 분석, 병합할 수 있어요.중복 제거: 중복된 데이터를 쉽게 찾아서 제거할 수 있어요.통계 분석: 최솟값, 최댓값, 중앙값, 빈도수 등 통계적 분..

CS

소켓 통신

오늘은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기본이자 핵심인 소켓 통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소켓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예요. 📌 소켓(Socket)소켓은 프로세스 간 통신(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을 위한 추상화된 연결점(Endpoint) 이에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어요.💡 소켓의 핵심 개념프로세스: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예요.IP 주소: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한 주소예요. (예: 192.168.1.1)포트 번호: 하나의 장치 내에서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번호예요. (예: 80, 443, 22)프로토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

CS

TCP와 UDP

오늘은 네트워크 통신의 핵심 프로토콜인 TCP와 UDP에 대해 깊고 넓게 탐험해 보려고 해요. TCP와 UDP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그 특징과 사용 사례는 매우 다르답니다.📌 TCP와 UDP, 왜 알아야 할까요?TCP와 UDP는 네트워크 통신의 기반이 되는 프로토콜이에요. iOS 앱 개발에서도 네트워크 통신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TCP와 UDP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앱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돼요.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발한다면 UDP를, 파일 전송 기능을 개발한다면 TCP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겠죠?📌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 프로토..

CS